■ 학력 및 경력
1997 이학박사 (분자유전학), 한국과학기술원
1997-2001 박사 후 연구원, 한국과학기술원
2001-2006 Postdoctoral associate, University of Florida
2006-2007 Research assistant professor, University of Florida
2008-현재 조교수, 부교수, 가천대학교
■ 소개
발생유전학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질병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형질전환 생쥐를 개발하여 질병의 증상을 재현하는 생쥐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각 유전자가 발생과정에 어떤 메커니즘으로 관여하는지를 규명하며 질병의 증상을 나타내는 병리 메커니즘을 밝히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중점 연구 분야는 혈관 형성 (angiogenesis), 림프관 형성 (lymphangiogenesis), 혈구 형성 (hematopoiesis)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발생유전학 연구실에서는 Tmem100-conditional knockout (cKO) 생쥐, Cxcl12-cKO생쥐, Bmp10-cKO 생쥐 등을 직접 제작하여 연구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와는 별도로 연구원 내에 transgenic core를 운영하여 지금까지 40종 이상의 유전자 변형 생쥐를 제작하였고 다수의 생쥐를 제작 중에 있습니다. 이들은 자체 연구뿐 아니라 국내외의 여러 연구자들과 공동 연구를 통해 각 유전자의 기능연구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국가마우스표현형 사업의 일환으로 knockout 생쥐 배아의 기본 표현형 분석 코어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 키워드
발생유전학, 유전자변형생쥐 제작, 신생혈관형성, 림프관형성, 혈구형성, 배아 발생
■ 최근 연구업적(2014-현재) (최근5년간의 주요연구실적)
1. Kim BG, Kim YH, Stanley EL, Garrido-Martin EM, Lee YJ (co-corresponding author), Oh SP. CXCL12-CXCR4 signalling plays an essential role in proper patterning of aortic arch and pulmonary arteries. Cardiovasc Res. 2017;113(13):1677-1687.
2. Cho J, Zhang Y, Park SY, Joseph A, Han C, Park HJ, Kalavalapalli S, Chun SK, Morgan D, Kim JS, Someya S, Mathews CE, Lee YJ, Wohlgemuth S, Sunny NE, Lee HY, Choi CS, Shiratsuchi T, Oh SP, Terada N. Mitochondrial ATP transporter depletion protects mice against liver steatosis and insulin resistance. Nat Commun 2017;8:14477.
3. Sung YH, Baek IJ, Kim YH, Gho YS, Oh SP, Lee YJ (co-corresponding author), Lee HW. PIERCE1 is critical for specification of left-right asymmetry in mice. Sci Rep 2016;6:27932.
4. Cho J, Seo J, Lim CH, Yang L, Shiratsuchi T, Lee MH, Chowdhury RR, Kasahara H, Kim JS, Oh SP, Lee YJ (co-corresponding author), Terada N. Mitochondrial ATP transporter Ant2 depletion impairs erythropoiesis and B lymphopoiesis.Cell Death Differ 2015;22(9):1437-1450.
5. Moon E-H, Kim YS, Seo J, Lee S, Lee YJ (co-corresponding author), Oh SP. Limited contributions of TMEM100 as a downstream effector of ALK1 to the pathogenesis of hereditary hemorrhagic telangiectasia. Cardiovasc Res 2015;105(3):353-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