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미섭-최철수 교수 공동연구팀 '근육 재생 촉진 유효 성분' 발굴
윤미섭 교수 "근육 질환·대사성 질환 극복 기술 개발 기여 기대"
근육 재생을 촉진하는 유효 성분이 발굴됐다. 이에 따라 이를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새로운 개념의 근육 재생 치료제 개발의 길이 열리게 됐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분자의학교실 윤미섭·최철수 교수 공동연구팀이 이 같은 연구성과를 거뒀다고 18일 밝혔다.
근감소증은 질병·노화 등에 의해 근육량의 감소 및 근력의 저하를 일으키는 질환이다. 특히 노인성 근감소증은 80세 이상 노인의 40%에서 발병하고 노화뿐만 아니라 대사성질환 등의 발병에도 밀접한 관련성을 보여 노령인구가 증가하는 현재 사회에서 경제적, 사회적 부담이 증가하나 아직 근본적인 치료제나 개선제가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근감소증은 초기 근육량의 감소로 시작돼 심화되면 근력의 감소를 동반하므로 발병 초기의 근육량의 회복은 근감소증의 극복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근육량을 조절하는 인자의 활성 증진을 일으키는 근원적인 근육 재생 치료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연구팀은 근육량의 조절과 근육 세포 분화의 주요 조절인자인 ‘mTORC1’을 활성화 하는 생체 유효 펩타이드를 발굴했다.
이어 이를 근육에 직접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안전성이 높은 AAV(Adeno associated virus)와 근육세포 특이적으로 전달 가능한 세포투과성 펩타이드인 ‘M12’를 이용해 근육세포에 유효 펩타이드를 직접 전달하는 기술을 활용했다.
세포투과성 펩타이드(Cell Permeable Peptide)는 단백질, DNA, RNA 등과 같은 고분자 물질을 세포 내로 전달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특정 아미노산 서열의 조합인 신호전달 펩타이드를 말한다.
출처: 메디컬투데이 -> 바로가기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
![]() |
![]() |
운영자 | 2022-05-19 |
![]() |
![]() |
운영자 | 2022-03-25 |
![]() |
![]() |
운영자 | 2022-03-24 |
![]() |
![]() |
운영자 | 2022-03-08 |
![]() |
![]() |
운영자 | 2021-12-10 |
![]() |
![]() |
운영자 | 2021-11-10 |
![]() |
![]() |
운영자 | 2021-08-31 |
![]() |
![]() |
운영자 | 2021-08-20 |
![]() |
![]() ![]() |
운영자 | 2021-06-10 |
![]() |
![]() ![]() |
운영자 | 2021-06-07 |